<소셜 코리아>는 (재)공공상생연대기금이 상생과 연대의 담론을 확산하고자 당대의 지성과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웹사이트와 오마이뉴스, 포털 등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소셜 코리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여기를 클릭!
💡 Insight 1 | 이슈를 꿰뚫는 깊이 있는 통찰
기대 모으는 국회판 사회적 대화···4가지 성공조건
📌 최근 우원식 국회의장은 노사 단체에 국회에서 사회적 대화를 하자고 주문했고 실무협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사회적 대화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를 통해 정부가 독점적으로 운영해왔는데, 국회가 추진한다면 어떻게 다를까?
📌 초기 사회적 대화는 국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사정의 양보와 타협의 장으로 활용되었지만, 90년대 이후 사회적 대화는 산업과 의제별로 다양한 노동 쟁점들을 논의하는 장으로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노동정책의 경우 정부의 독단으로 의사결정이 어렵고 이해관계자 간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 사회적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쌓여가고 있지만 정작 정부 중심의 사회적 대화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사회적 대화가 노사 당사자보다 정부 주도로 이뤄지면서 정부의 성격에 따라 부침을 거듭해왔다.
📌 국회의 사회적 대화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기존과 다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국회의 사회적 대화는 정부 중심의 사회적 대화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 정부의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다루기보다 우리 사회가 직면한 시급한 갈등현안이나 중장기 사회적 과제를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회적 대화를 제안한 국회의장의 개인적 지향에 따라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게 아니라 국회가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의 지속가능한 방안을 찾는 데 주력해야 한다.
국회의 사회적 대화는 노사단체에 지나치게 합의를 강요하기보다 유연하게 논의하되, 이행에 있어서는 정당이 책임지는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
📌 실제로 인간-AI 조합은 효과적일까? 오히려 인간의 능력 저하를 가져오고 별로 효과적이지 않다는 주장과 연구 결과도 있다. AI모델의 종류, 사용 목적과 방식, 그리고 환경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AI를 어떻게 활용하면 최적의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 MIT 연구팀의 최근 논문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인간-AI 조합은 인간이나 AI 단독 작업보다 낮은 성과를 보였다.
의사결정 작업에서는 성과가 감소한 반면 콘텐츠 생성 작업에서는 오히려 성과가 크게 향상했다.
인간이 AI보다 우수한 경우에는 인간-AI 조합에서 성과가 증가했으나, AI가 인간보다 우수한 경우에는 인간-AI 조합에서 오히려 성과가 감소했다.
📌 결국 AI를 어떻게 사용하면 효과적인지 알고 자신의 능력에 맞는 방식, 인간과 AI의 효과적인 조합 방식을 찾아야 성과를 낼 수 있다.
하버드대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고숙련 노동자가 생성형 AI를 그 능력의 경계 내에서 사용하면 AI를 사용하지 않는 노동자들과 비교해 성과를 거의 40%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AI를 그 능력 경계 밖에서 사용할 때는 성과가 평균 19%포인트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논문은 인간과 AI 간 협력을 위한 두 가지 방식을 제안한다. 인간-기계 하이브리드인 ‘사이보그 행동’과 신화 속의 반인반마 생물에서 따온 ‘켄타우로스 행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