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코리아>는 (재)공공상생연대기금이 상생과 연대의 담론을 확산하고자 학계, 시민사회, 노동계를 비롯해 각계각층의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웹사이트와 오마이뉴스, 여러 포털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소셜 코리아>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면 여기를 클릭!
📌 다음 주 뉴스레터는 여름휴가로 쉽니다. 무더운 여름 잘 이겨내세요.
💡 Insight | 이슈를 꿰뚫는 깊이 있는 통찰
기후위기 시대 인류가 나아갈 길 ‘생태복지사회’
🔵 한국이 진정한 복지사회로 나아가려면 기후위기와 양극화, 저출생을 초래하는 돌봄의 위기 모두에 대응하는 생태복지의 제도화가 시급하다. 생태복지국가로의 전환은 참여소득 도입 같은 것들보다 훨씬 근본적이고 급진적이어야 한다.
🔵 보편적 기본소득은 사회적으로 유용하게 노동하는 능력과 노동조건 개선 둘 모두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민주주의, 돌봄 및 생태적 참여를 향한 전사회적 목표와 사회보장제도의 현금 이전을 융합하는 통찰이 미비하다.
과잉소비를 내재하는 데다가 교통, 먹거리, 생태 서비스 등 핵심적 공공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외면된다.
🔵 보편적 기본서비스(UBS)는 커먼스와 같은 이용자 참여의 경제민주주의 실험을 통해 자율적이고 분배적인 공공서비스를 촉진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덜 소비지향적이면서 좀 더 생태적인 UBS가 기본소득을 대체한다면 공동체적 삶 속에 연대를 창출하는 비상품화된 기본서비스의 재정적 실현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다.
🔵 참여소득제도는 생태복지사회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
참여소득은 기후위기 극복이나 공동체적 돌봄 등에 참여하는 최소소득의 하한을 밑도는 사람들에게 ‘개인소득’을 기반으로 지급하는 급여이다.
UBS를 통해 기존과 다른 형태의 노동과 돌봄 제공, 민주적 참여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시간 회복을 가능케 한다.
낙인화의 위험을 줄이고 돌봄을 둘러싼 젠더 평등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사람들을 돌봄, 생태서비스 제공 활동 등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 에너지·디지털 전환으로 분주해야 할 시점에 대한민국은 방향을 상실한 무정부 상태 같다. 경제정책은 특히 시대착오적 신념에 지배되어 표류하고 있다.
🔵 고물가, 고금리, 가계지출 감소로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폐업률과 연체율이 이례적으로 높다. 그런데도 국가재정의 적극적 역할은 볼 수 없다. 오히려 최상위 부유층을 위한 감세정책으로 사태를 악화시킨다.
🔵 현재 정부에서 힘 있는 경제 각료들은 재정지출뿐만 아니라 재정수입도 줄여 재정을 파탄낼 각오를 한다. 도대체 어떤 신념 때문에 재정파탄까지 감수할까? 바로 시장근본주의와 자유지상주의의 결합, 신자유주의다.
🔵 신자유주의는 민간부문을 확대하고 공공부문을 축소하는 일련의 정책 조합을 일컫는 개념이다. 경제성장과 효율성을 목표로 하지만 실업과 불평등, 지역 간 격차 확대 등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여 오히려 경제발전과 지속성장에 해롭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 군사독재의 폭력이 사라지고 그 빈자리를 자본의 폭력이 대체한다. 자본의 욕망이 향하는 곳에 돈 벌 기회의 꽃이 피고 이 꽃으로 슈퍼 공권력의 엘리트 벌떼를 유혹한다. 이렇게 탐욕의 먹이사슬, 자본-엘리트 카르텔의 온상이 만들어진다. 이 ‘중대’ 카르텔이야말로 하루빨리 해체해야 할 첫 번째 개혁 대상이다.
사업주가정년을 연장 또는 폐지하거나, 정년에 도달한 노동자를 계속하여 고용하거나 재고용하는 제도.
정부는 노동자를 계속고용하는 중소·중견기업에 근로자 1명 당 최대 3년 동안 1080만 원(월 30만 원)의 계속고용 장려금을 지급한다. 지난해 2649개 기업, 7888명이 지원을 받았다. 유형은 재고용 77%, 정년연장 15.4%, 정년폐지 7.6% 등으로 나타났다.
현대자동차의 숙련재고용도 계속고용의 일종이다. 현대차는 2019년 생산직에 한해 정년이 된 직원에게 촉탁 계약직으로 더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했다가 지난해부터는 영업직에도 확대 적용하고 있다. 다만 급여는 신입사원 수준에 불과하다. 노사는 최근 계속고용 기간을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