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재난에는 불평등의 문제가 있다. 산불 재난도 그렇다. 산지가 많은 지역은 대부분 농산어촌이며, 인구가 적고 노인 비율이 높다. 이번에 희생된 이들도 대부분 농산어촌의 노인들이었다. 특히 노인들은 혼자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없는 이들이 많다.
📌 최근 산불 원인을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산불의 규모가 커지고 기간이 길어지는 원인으로 기후·녹색운동 진영과 일부 과학자들은 기후위기를 꼽았다. 최근에는 기후위기를 원인으로 보는 입장을 비판하면서 산림청의 정책, 특히 소나무 중심의 조림 정책이 가장 큰 문제라는 주장이 많은 공감을 얻었다.
📌 각종 자연·사회재난에 기후위기는 상수가 되고 있으며, 산불 재난도 기후위기라는 요인을 제외할 일이 아니다. 물론 기후위기는 산불 발생을 높이는 원인이지만 단기간에 기후위기를 막을 수는 없다. 산불 재난의 성격에 맞는 산림 및 소방정책 등의 점검과 개선이 함께 요구된다.
📌 하늘에서 떨어진 정책은 없다는 것도 직시해야 한다. 산림정책은 산림과 관련된 이해당사자 집단의 요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산주들의 이해관계도 고려된다.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산림정책과 산주들 또는 임업 관계자들이 원하는 산림정책이 불일치할 수도 있다. 산불 재난 대응과 관련한 산림 정책 개선의 방향은 공공성과 재난 예방이란 관점을 깔고, 산림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토론해서 탐색해나갈 필요가 있다.
📌 지금의 농촌과 지역 현실을 고려하면 산불로 탄 집을 새롭게 지을 수 있는 개인적, 공동체적인 역량이 부족하다. 마을 전체가 화마에 휩싸인 경우나 복지시설까지 전소된 마을에는 한두 집만 먼저 돌아오기 어려울 수 있다. 개별적인 보상과 함께 정치와 행정, 지역사회가 함께 주거 회복 로드맵 및 마을 공동체의 회복을 논의하는 공동체적 접근이 필요하다.
📌 재난 대응과 예방에 있어서 지역사회의 역할도 중요하다. 정교한 재난예방체계를 마련해도 정치와 행정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공백을 이웃 공동체가 채울 수 있다. 전기와 통신이 마비된 마을에서 이웃 주민을 대피시켰던 것은 평소에 알고 지낸 이웃과 공무원 등이 직접 찾아왔기에 가능했다.
📌 이번 산불 재난을 통해 기후위기, 지역소멸, 재난예방체계 등의 다양한 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후재난 시대, 다양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생태적으로 사고하고 실천하자. 생태적으로 사고한다는 것은 어떤 개체 간의 관계성과 연결성을 이해하는 일이다.